Chuyển tới nội dung
Trang chủ » 거든 grammar로 꼬였을 때 이 포스트를 확인해보세요!

거든 grammar로 꼬였을 때 이 포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한국어 문법 #48 -거든(1)

거든 grammar

Korean is known for its unique grammar structure, and one of the grammar patterns that showcase this is the 거든 (geodeun) pattern. This grammar pattern is used to express a contrastive situation or to give a reasoning behind a statement. In this article, we will delve deeper into the meaning, usage, and structure of 거든 grammar, as well as commonly asked questions about the topic.

거든 meaning

거든 is a grammar pattern that can be translated into “if” or “since.” It is used to give a reason for a statement or to show a contrastive situation. It is usually used in spoken Korean and is considered casual.

Let’s take a look at some examples:

– 내일 출근해야 해. 시간이 없어서. (Naeril chulgyeonaeya hae. Sigani eobseoseo.) – I have to go to work tomorrow. I don’t have time.
– 내일 출근해야 해. 시간이 없거든. (Naeril chulgyeonaeya hae. Sigani eobgeodeun.) – I have to go to work tomorrow. Since I don’t have time.

In the first example, the speaker simply states that they have to go to work tomorrow, while in the second example, they give a reason for this statement (lack of time).

거든요 grammar ttmik

거든 can also be combined with the polite sentence ending 요 (yo) to form the 거든요 (geodeunyo) pattern. This pattern is used to give a softer tone to the statement.

Let’s take a look at some examples:

– 집에 가야 돼. 늦기 전에. (Jibe gaya dwae. Neutgi jeone.) – I have to go home. Before it’s late.
– 집에 가야 돼요. 늦기 전에 거든요. (Jibe gaya dwaeyo. Neutgi jeone geodeunyo.) – I have to go home. Since it’s important to not be late.

Notice how the second example has a softer tone due to the addition of 요 to the end of the sentence.

거든요 grammar examples

Here are some more examples of 거든요 in action:

– 오늘은 우리 집에서 식사하자. 외식하기 싫거든요. (Oneureun uri jibeseo sik Sahaja. Wesighagi silgeodeunyo.) – Let’s eat at home today. Since I don’t feel like eating out.
– 이번 문제는 쉽지 않아.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않았으니까. (Ibeon munjeneun swipji anha. Sueop sigane jipchunghaji anhasseunikka.) – This problem isn’t easy. Since I didn’t concentrate during class.
– 저는 피곤해요. 일주일 동안 일했거든요. (Jeoneun pigonhaeyo. Iljuil dongan ilhaetgeodeunyo.) – I am tired. Since I worked for a week straight.

거든요 vs. 아니거든 meaning

Another grammar pattern that is commonly used in Korean is the 아니거든 (anigeodeun) pattern. This pattern is used to make a strong denial or to reject a statement.

Let’s take a look at some examples:

– 이것은 고양이가 아니거든. 개라구요. (Igeoseun goyangiga anigeodeun. Gaeraguyo.) – This isn’t a cat. It’s a dog.
– 내가 그렇게 말한 적 없거든. 왜 그런 소리를 해? (Naega geureohge malhan jeok eobgeodeun. Wae geureon sorireul hae?) – I never said that. Why are you saying that?

Notice how the meaning of 아니거든 is different from 거든. 거든 is used to show a reason, while 아니거든 is used to convey a denial or rejection.

느라고 grammar

The 느라고 (neurago) pattern is often used in conjunction with 거든. This pattern is attached to a verb stem to show the reason behind an action.

Let’s take a look at some examples:

– 이것 만드느라고 일주일 동안 일을 했어요. (Igeot mandeuneurago iljuil dongan ireul haesseoyo.) – I worked for a week to make this.
– 친구를 만나느라고 밤늦게까지 나왔어요. (Chingureul manneneurago bam neutgekkaji nawasseoyo.) – I came out late at night to meet my friend.

다가 grammar

Another common pattern is the 다가 (daga) pattern, which is used to show a change in situation. This pattern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거든 to express a change in the situation that led to a statement.

Let’s take a look at some examples:

– 공부하다가 머리가 아팠거든. (Gongbuhadaga meoriga apatgeodeun.) – I had a headache while I was studying.
– 일어나다가 배고팠거든. (Ireonadaga baegopatgeodeun.) – I was hungry when I woke up.

Notice how the 다가 pattern is used to show the change in the situation that led to the statement.

거든 vs. 면거든 grammar

Finally,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거든 and 면거든 (myeongeodeun) grammar, which is another pattern used to express a conditional statement.

Let’s take a look at some examples:

– 시간이 남으면 영화를 보러 가자. (Sigani nammyeon yeonghwareul boreo gaja.) – If we have time, let’s go watch a movie.
– 시간이 남으니까 영화를 보러 가자. (Sigani nameunikka yeonghwareul boreo gaja.) – Since we have time, let’s go watch a movie.

In the first example, 면거든 is used to express a conditional statement. In the second example, 거든 is used to give a reason for the statement.

FAQs

거든 문장의 구성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거든 문장은 “statement + 거든”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거든은 주로 문장 끝에 붙지만, 다른 어미와 함께 사용하여 더욱 다양한 표현이 가능합니다.

거든의 상황에 대한 사용법은?
거든은 누군가와 대화할 때 특정한 상황을 설명하거나, 어떤 일이 일어난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주로 언어체가 비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되며, 아이러니한 상황과 반대되는 상황을 설명할 때도 사용됩니다.

거든 문장에서 어떤 단어와 함께 사용되나요?
거든은 주어와 동사, 형용사, 부사, 감탄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이 때 주어와 동사는 거든 앞에 위치하며, 다른 단어들은 그 뒤에 위치합니다.

거든 문장에서 동사의 형태는 어떻게 바뀌나요?
거든 앞에 위치하는 동사의 형태는 기본형입니다. 즉, 어미가 붙지 않은 형태를 사용합니다.

단어의 위치에 따라 거든이 바뀌는 경우가 있나요?
네, 어순에 따라 거든의 형태가 바뀔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먹고 거든”과 “걷다가 거든”은 다른 표현을 나타냅니다.

거든 문장에서 주어와 목적어의 위치는 어떻게 되어야 할까요?
주어와 목적어의 위치는 일반적인 언어 사용 규칙에 따라 결정됩니다. 주어는 동사 앞에 위치하고, 목적어는 동사 뒤에 위치합니다.

거든 문장에서 형용사와 부사도 사용할 수 있나요?
네, 형용사와 부사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 때 형용사와 부사는 주로 동사 뒤에 위치합니다.

거든 문장에서 어떻게 감탄사를 사용할까요?
감탄사는 “거든 + 감탄사” 구조로 사용됩니다. 이 때 감탄사는 주로 문장 끝에 위치하며, 높은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거든 문장에서 주어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가 있나요?
네, 주어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 주어는 상황에 따라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배고팠거든”은 “나는 배고팠거든”과 같이 생략된 주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Keywords searched by users: 거든 grammar 거든 meaning, 거든요 grammar ttmik, 거든요 grammar examples, 거든요, 아니거든 meaning, 느라고 grammar, 다가 grammar, 거든 vs 면

Categories: Top 19 거든 grammar

한국어 문법 #48 -거든(1)

See more here: toimuonmuasi.com

거든 meaning

Korean language is one of the fastest-growing languages in the world right now, and learning it can be very interesting and rewarding. One of the peculiar attributes of the language is the use of particles to indicate the subject, topic, and object of a sentence. The particles not only distinguish words but also vary in usage, and the meaning of sentences can change based on their usage. One of the particles that have puzzled Korean learners for ages is ‘거든.’ In this article, we will explore its meaning, usage, and answer some frequently asked questions.

Meaning

At its core, ‘거든’ is a grammatical particle that connects two or more clauses in a sentence. However, its meaning goes beyond that. It is often used to expres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lauses, where the first clause is a condition or premise, and the second clause is the logical conclusion or result. In essence, ‘거든’ is used to indicate that the following clause is a natural consequence of the preceding one.

Usage

‘거든’ is one of the most common particles in conversational Korean. Like many other Korean particles, it appears at the end of sentences and is pronounced as ‘거든요’ in a polite form and ‘거든’ in a casual form. It can be used to connect two or more complete sentences, phrases, or verb/adjective stems. Let’s explore some ways ‘거든’ is used in Korean sentences:

1. Indicating a hypothesis: When used in a sentence to indicate a hypothesis, ‘거든’ is often translated into English as “if that’s the case” or “if this is true.” Here’s an example:

예를 들어, 어렵다면 같이 공부해 주면 좋거든요. (For example, if it’s difficult, it would be great if you could help me study together.)

In this sentence, the speaker is making a hypothesis “if it’s difficult” and concludes that “it would be great if you could help study together” as a result.

2. Indicating the reason: ‘거든’ can also be used to indicate the reason behind the action or a situation. Here’s an example:

다왔거든 그만해도 돼. (You’ve already come so far, so you can stop now.)

In this sentence, the first clause “you’ve already come so far” is the reason for the second clause “you can stop now.”

3. Indicating advice or suggestion: ‘거든’ can also be used to indicate advice or suggestion in a sentence. Here’s an example:

당신이 그렇게 멀리 가지 않는 게 좋거든요. (It’s better if you don’t go that far.)

In this sentence, the first clause “it’s better” suggests the second clause “if you don’t go that far.”

4. Indicating an assumption: ‘거든’ can also be used to indicate an assumption. Here’s an example:

근데 이 식당에서는 치즈 라면이 제일 맛있는 거든요. (But the cheese ramen here is assumed to be the most delicious in this restaurant.)

In this sentence, ‘거든’ adds emphasis to the assumption that “the cheese ramen here is the most delicious.”

FAQs

1.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거든’ and ‘그러면’?

Both ‘거든’ and ‘그러면’ indicat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lauses, but there is a subtle difference in their usage. ‘거든’ is used to connect clauses where the first clause is a premise, and the second clause is the logical conclusion or result. On the other hand, ‘그러면’ is used to connect clauses where the first clause is a premise, and the second clause is a suggestion or directive. For example:

나중에 귀찮아지면 그때 해도 되는 거든요. (If it becomes too troublesome, you can do it then.)

어제 발표회에 가지 않았어. 그러면 퇴근 시간이 될 때마다 배고프겠지? (I didn’t go to yesterday’s presentation. If so, you’ll be hungry every time it’s time to go home?)

2. Can ‘거든’ be used in formal settings?

‘거든’ is primarily used in casual speech and conversations, but it can also be used in formal settings such as a presentation or conference, but the tone and formality of the sentence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It would be better to use more formal particles such as ‘그러므로 (therefore),’ ‘그러니까 (so),’ or ‘따라서 (accordingly)’ in formal writing or speeches.

3. What are some synonyms of ‘거든’?

Some synonyms of ‘거든’ are ‘그러니까 (so),’ ‘그러므로 (therefore),’ and ‘그래서 (thus).’ All these particles indicat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clauses in a sentence.

4. Are there any other particles that have similar usage like ‘거든’?

Yes, particles such as ‘니까 (so),’ ‘여서 (so),’ and ‘때문에 (because)’ have similar usage like ‘거든,’ indicating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clauses in a sentence.

Conclusion

In conclusion, ‘거든’ is a versatile particle in Korean that indicate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t clauses in a sentence. By mastering its usage, one can improve their Korean conversational skills significantly. It is a particle that is commonly used in daily conversations, so learning its usage is essential to develop natural Korean language skills.

거든요 grammar ttmik

이 글에서는 한국어 학습자 분들이 자주 사용하고 궁금해하는 거든요 문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거든요는 일상 대화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는 문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 문법을 사용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이번에는 거든요의 사용법과 예시를 살펴보며 이 문법을 마스터해 봅시다.

거든요 문법의 기본 개념

거든요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일어난 사실이나 상황에 대해 설명하거나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거든요는 “그러면, 그리고, 그래서” 등과 같은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대화가 있을 때:

A: 요즘 바쁘세요?
B: 네, 아침 일찍 일어나서 운동하고, 회사에서 일해요.

B는 “아침 일찍 일어나서 운동하고, 회사에서 일해요”라는 사실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그 사실이 요즘 바쁘다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때 B가 “그래서 바쁘거든요”라고 이어 말하는 것이 거든요 문법을 사용한 것입니다.

거든요의 형태

거든요는 긍정적인 경우와 부정적인 경우 둘 다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문법을 사용할 때 주어와 동사, 어미 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거든요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습니다.

[동사/형용사/명사] [거든요]

그렇다면 이제 각각의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동사 + 거든요

동사를 기준으로 한 거든요 문법은 수동태와 더불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됩니다. 평소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그릇 깨뜨렸거든요.
– 친구랑 만나러 가려했는데 차가 망가졌거든요.
– 퇴근하려고 했는데 일 끝나지 않았거든요.

형용사 + 거든요

형용사를 기준으로 한 거든요 문법은 전달하려는 상황의 성격에 따라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어울리는 경우입니다.

– 아주 [형용사] 거든요.
– 좀 [형용사] 거든요.
– 완전히 [형용사] 거든요.

하지만 이 외에도 많은 형용사들이 거든요와 어울리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힘들거든요”와 같은 형식도 가능합니다.

명사 + 거든요

명사를 기준으로 한 거든요 문법은 전달하려는 상황과 그에 따른 대화의 맥락에 따라 사용됩니다.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 [명사] 거든요.

상황과 대화의 맥락에 따라 대문자나 소문자로 적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 거든요”나 “서울거든요”나 모두 가능합니다.

거든요의 사용 예시

거든요 문법은 매우 구어체적인 문법이기 때문에 일상 대화에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 그러한 대화에서 자주 쓰이는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 설거지 해놨거든요.
– 공부 좀 해놓은 거든요.
– 강아지랑 놀았거든요.
– 일도 많이 해놓은 거든요.

FAQs

Q: 거든요 문법에는 어떤 경우에 사용할 수 없을까요?
A: 거든요 문법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대화를 이어가는데에 있어 매우 유용한 문법이지만, 모든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구어체적인 표현인 만큼, 전문적인 상황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Q: 거든요 문법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A: 거든요 문법을 사용할 때는 주어와 동사, 어미 등에 주의해야 합니다. 대체적으로 주어와 동사, 어미를 중심으로 문장 구성을 해야 합니다.

Q: 거든요와 더불어 자주 사용되는 문법이 어떤 것이 있나요?
A: 거든요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 문법에는 “-네요”나 “-는데” 등이 있습니다. “-네요”는 놀램, 감동, 분노 등의 느낌을 표현할 때 사용하고, “-는데”는 어떤 상황에 대한 이유, 근거 등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Q: 거든요 문법을 적절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거든요 문법은 일상 대화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법 중 하나이기 때문에, 실제로 대화를 하며 익혀가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다양한 대화 상황에서 거든요 문법을 사용해보며, 그에 따른 효과를 익혀가야 합니다.

Q: 중국어나 일본어 등과 비교해서 한국어의 거든요 문법은 어떤 특징이 있나요?
A: 영어와 비교하여 더욱 높은 산문화되어 있는 한국어의 특징상, 거든요 문법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에는 큰 이유가 있습니다. 거든요는 상황, 대화, 이야기 등에 따라 적절한 타이밍에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더욱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해주는 감각적인 표현입니다.

Q: 거든요 문법의 의미에는 어떤 다양성이 있을까요?
A: 이 문법은 매우 유연한 문법이기 때문에, 의미에도 다양한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평소 대화에서는 일상적인 상황이나 이야기를 표현할 때 “그래서”라는 의미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또한 살짝 불편한 상황이나, 놀란 상황 등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거든요 grammar examples

In Korean language, most grammar is dependent on context. However, one grammar pattern that stands out for being used in various situations is the “~거든요 (geodeunyo)” grammar pattern. It is frequently used among friends and acquaintances in casual conversations. In this article, we will explore the various situations that you may encounter “~거든요” grammatical pattern and understand its meaning.

What is “~거든요” (geodeunyo)?

“~거든요” (geodeunyo) can be translat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context, but the basic meaning is “since…/because…”. It is a conditional sentence that means that the sentence that follows is the result of the first statement.

Examples:

1. 내일은 휴일이거든요. 그래서 나는 계획 없이 집에서 쉴거예요. (naeil-eun hyuil-igeodeunyo. geuraeseo naneun gyehoe eobs-i jib-eseo swilgeoyeyo.) – Tomorrow is a holiday, so I plan to rest at home without any plans.

2. 가족들이 다 함께 모여 놀이공원에 가자고 하거든요. (gajogdeul-i da hamkke moyeo nor-igong-won-e gajago hageodeunyo.) – My family wants to go out together to the amusement park.

3. 너무 피곤해서 이제 가려고 하거든요. (neomu pigonhaeseo ije garyeogo hageodeunyo.) – I’m tired, so I’m going to sleep now.

4. 나 아침에 배가 고프거든요. (na achim-e baega gopugeodeunyo.) – I’m hungry in the morning.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in the “~거든요” pattern, the first sentence ends with a verb in the plain form. This can be either an action or a declarative sentence.

When is “~거든요” used?

~거든요 (geodeunyo) is used in situations like debates, presentations, reasoning, or deductions. Also, it can also be observed in conversations among friends, acquaintances, and relatives, especially when they are expressing their opinions, feelings, plans, or giving instructions.

Example 1:

A: 이번 주말에 뭐 할까요? (ibeon jumal-e mwo halkkayo?) – What should we do this weekend?

B: 날이 좋아서 밖에 나가자고 하거든요. (nali johaseo bakke nagajago hageodeunyo.) – Since the weather is good, I think we should go out.

Example 2:

A: 어떻게 집에 가나요? (eotteohke jib-e ganyano?) – How do I get home?

B: 매일 이 시간에 이 버스타고 가거든요. (maeil-i si-gan-e i beoseutago gageodeunyo.) – I go home every day on this bus at this time.

Example 3:

A: 왜 그렇게 화가 나는 것 같아요? (wae geuleohge hwaga naneun geos gatayo?) – Why do you seem so angry?

B: 어제 만난 친구가 나를 실망시켜서 그래서 화가 나거든요. (eoje mannan chingu-ga naleul silmang-sikyeoseo geulaeseo hwaga nageodeunyo.) – I feel disappointed with my friend whom I met yesterday, so I am angry.

FAQs:

Q: Does “~거든요” have a formal equivalent?
A: The formal equivalent of “~거든요” is “~게요” (-geyo). It is more accurate but sounds more formal as well.

Q: Is “~거든요” commonly used in everyday conversations?
A: Yes, it is. However, it is most frequently used in casual conversations among friends and family.

Q: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using “~거든요” and “~기 때문에” (gi daemun-e)?
A: Yes, there is. While both expressions convey a causal relationship, “~거든요” is used in casual conversations, while “~기 때문에” is more formal, especially in written contexts.

Q: Is it appropriate to use “~거든요” in business conversations?
A: No, it is not. “~거든요” is too informal to be used in business conversations. Instead, you can use “~게” (-ge) or “~때문에” (-daemun-e).

Q: Are there any other grammar patterns similar to “~거든요”?
A: Yes, there are. For example: “~도 되고요”(-do doegoyo), “~네요”(-neyo), and “~다면”(-damyeon).

Conclusion:

“~거든요” is a common grammar pattern used in Korean. It is used to expres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ntences. It is most frequently used in casual conversations among friends and family. However,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it should not be used in formal contexts such as business conversations. If you are learning Korean, this is one of those basic expressions that you need to incorporate into your daily speaking.

Images related to the topic 거든 grammar

한국어 문법 #48 -거든(1)
한국어 문법 #48 -거든(1)

Article link: 거든 grammar.

Learn more about the topic 거든 grammar.

See more: https://toimuonmuasi.com/category/blog blog

Để lại một bình luận

Email của bạn sẽ không được hiển thị công khai. Các trường bắt buộc được đánh dấu *